역동성 이슈가 대두되는 이유, 왜 역동성인가?

역동성 이슈가 대두되는 이유, 왜 역동성인가?


한국사회의 무기력 현상, 역동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역동성, 변화역동성

  1. 한국사회의 무기력 현상
  2. 역동성 의 기로에 선 한국 경제
  3. 역동적 리더 육성의 필요성
  4. 역동적 리더를 통한 변화역동성 조직문화 만들기

1. 한국 사회의 무기력 현상


낮은 기업가 정신

2015 암웨이 글로벌 기업가정신 리포트(Amway Global Entrepreneurship Report, 이하 AGER)’ 한국은 AESI 조사에서 세계 평균(51점) 및 아시아 평균(64점)보다도 낮은 44점을 받아 조사 대상 44개국 중 28위

OECD 최고의 자살률

한국 자살률 OECD 최고 – 2013 사망원인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하루 평균 39.5명이 자살

초고령화 사회

한국 고령화 ‘메가급’ 진행속도는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 세계은행(WB)의 발표- 한국 인구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른 수준

2. 역동의 기로에 선 한국 경제


역동성 이슈, 역동성의 기로에 선 한국 경제, 한국사회의 무기력 현상, 역동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역동성,역동적 리더십

최근 한국경제에 대한 외신과 경제전문가들의 진단
– 조선일보12월16일자-

  • 싱턴 포스트, “혼을 잃은 호랑이”
  • 이코노미스트,  “(먹거리 없는) 한겨울의 호랑이(tiger in water)”
  • 최원식 맥킨지코리아 서울사무소 대표,  “한국경제는 느린 자전거를 탄 상황”
  • 짐 로저스  “고령화 돼가는 한국경제는 거대한 양로원”
  • 타일러 코웬 조지메이슨대 교수, “한국경제는 상처에 반창고를 붙이고 있다.”
  • 하마다 고이치 예일대 교수, “지금 한국은 일본의 1990년대 초를 보는 것 같다.”
  • 닛케이, “정체하는 한국경제”
  • 전광우 전금융위원장, “소용돌이 속에 동력 잃은 조각배”
  • 정덕구 전 산업자원부 장관,‘새로운 기업과 차세대 먹거리가 출현하지 않는 경제 생태계의 고사(枯死)현상”

3. 역동적 리더 육성의 필요성


조직은 다양한 차원의 역동성. 즉, 민감한 역동적 통찰, 역동적 몰입행동, 역동적 유연성, 자기복원력을 가진 역동적 리더를 육성해야 한다

Fortune America 500으로 1990년도에 선정된 기업 중 2010년까지 500대 기업에 머문 기업은 약 24%에 불과하였다. 조직은 다양한 차원의 역동성을 상실할 때 필연적으로 그 자리를 내려 놓고 사라진다.

 

전문가들은 조직의 지속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역동성을 제시한다.

첫째, 기업은 산업, 고객, 경쟁사 등의 변화 움직임과 그 영향력에 대한 보다 민감한 역동적 통찰을 유지하여만 한다.

둘째, 실험적 파일럿을 거친 후 판단이 서면 역동적인 몰입행동을 해야만 한다.

셋째, 결단과 몰입의 역동성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동적 유연성과 자기복원력을 가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역동성을 유지하고 지속시킬 역동적 리더를 육성해야만 한다.

< LG경제연구원 자료 참고 >

역동성,역동적 리더
역동성
역동성

4. 역동적 리더를 통한 변화역동성 조직문화 만들기


역동적 조직에 필요한 것은 학습된 무기력을 깨고 학습된 역동성 을 강화하는 것이다.

역동성 역량,역동성,변화역동성

한국조직의 문제는 인지적 역량(K)이나 수행역량(S)의 부족이 아니라 변화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변화를  창조하려는 역동성 결핍에 있습니다.  이는 환경에 의하여 조성된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한국의 조직, 사회 전반에 필요한 것은 학습된 역동성 (Learned Dynamics)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귀사의 조직은 아직도 수행역량과 인지역량에 중점을 둔 활동이 인재개발의 주를 이루고 있습니까?

많이 알지만 많이 행동하지 않는 사회, 죽어가는 것을 알지만 무기력하게 스스로 방치하는 사회에서 진정 개인과 조직의 미래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인 무엇인지 생각을 하면 전략은 명확해집니다.

정점에서 사라진 많은 기업들이 실행력이 결여된 인지적 리더십 교육과 워크샵에 몰입하던 중,  연수원에서 회사의 부도소식을 들었다는 사실을 기억 해야 합니다.

역동성